Text

2013, 버려진 에너지의 박제(剝製)된 아름다움, / 도경민(청주공에비엔날레 큐레이터)
 
차갑고 거친 시멘트, 단단함과 육중함, 그리고 그 속에 등장하는 고목들의 모습은 어떤 고지식한 조각가의 모습을 예견케한다. 마치 가벼운 현대 조각들에 반항이라도 하듯 작가는 태초의 조각가처럼 가장 무거운 돌과 가장 자연에 가까운 나무를 조각의 소재로 택했다. 나무와 시멘트는 마치 한 몸이었던 것처럼 잘 어우러진다. 실재로 작가는 멋진 나무를 구하기 위해 전국을 수소문하며 버려지는 멋진 고송을 찾아다닌다. 그 나무들은 전봉준 선생의 고창 생가이기도 했고, 소격동 기무사에서 버려진 나무이기도 했다. 각자의 히스토리를 지니고 있는 버려진 고송들인 것이다.
이종희는 버려진 사물에 대한 애정이 깊다. 그중에서도 특히, 어렸을 적부터 나무와 가까이 자란 때문인지 버려진 나무에 대한 애정은 더 하다. 버려진 사물에 대한 애정은 기본적으로 사물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된다. 내가 쓴 물건이든 남이 쓴 물건이든, 오랜 세월 누군가에게 사용된 물건에서는 어떤 이의 삶, 그 삶의 에너지가 녹아 있다고 생각한다. 기름때 잔뜩 묻은 자동차 엔진에서 오랜 작업의 고단함, 소진된 에너지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고 하니, 그에게 그 자동차의 기름때는 마치 어느 늙은이의 아름다운 주름과도 같은 것일 게다. 늙은이의 주름 속에 세월이 흔적이 녹아 있듯, 누군가에 의해 오래 사용된 물건에는 그 물건과 사람이 함께 했던 시간들, 그 에너지들이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현대미술에서 버려진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가들은 많다. 특히 최근의 따뜻한 자본주의, 나눔의 열풍 때문인지 버려진 물건, 나눠 쓰고, 바꿔 쓰기 프로젝트 등이 다양한 예술의 형태로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조각가 이종희는 자신과 닮은 가장 육중한 조각의 형태로 버려진 사물에 대해 해석한다. 그리고 조각가답게 그 버려진 사물이 지닌 소진된 에너지에 집중한다. 버려진 사물들에 여운처럼 남아있는 에너지는 파편화되어 시멘트 돌 속에 압축되고 박제된다. 작가는 다 소진된 거친 에너지들의 아름다움을 차마 사라지게 놓아두지 못하고, 가장 차가워 보이는 시멘트 속에 가두어 카타르시스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다.
소진된 에너지, 그리고 그 에너지를 박제한다는 것은 곧 생명과 죽음을 의미한다. 생명과 죽음은 아주 오랜 기간 치명적인 매력을 지닌 소재였다. 에너지의 박제는 마치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의 박제된 생명체를, 그 멈추어 버린 에너지는 중국 쓰춴성 지진으로 부서진 기차를 전시장에 가져왔던 장후안(Zhang Huan)의 작업을 떠오르게 한다. 그러나 조각가로써의 정공법을 택한 이종희는 그 에너지를 시멘트와 나무로 박제시켜 거친 아름다움으로 재탄생시킨다. 그는 에너지의 박제된 아름다움에 자신의 에너지, 즉 육체노동과 숙련된 조각가의 기술을 가미하여 정통 조각가다운 방법으로 그 아름다움을 돌 속에 멈추어 있게 한다.
 
 
2013, Stuffed beauty of abandoned energy, write / Do, Kyoung-min
 
Cold and rough cement, hardness and massiveness, and shapes of old pine trees in them allow to foresee a straight-arrow sculptor. As if he resisted against light sculptures in modern days, the artist adopts the heaviest stone and the tree which is closest to the nature as materials for his sculpture like a primal sculptor. The tree and cement are in good harmony as though they were of one. The artist actually asks around the whole country to obtain a good tree and casts about abandoned but great old pine trees. Some of those trees were in Jeonbongjun's birthplace in Gochang and some others were ones abandoned in Defense Security Command, Sogyeok-dong. In other words, those were abandoned old trees with history of their own.
Jong hee Lee has deep affection in abandoned objects. Among others, he is especially more affectionate in abandoned trees maybe because he was raised with trees near by. The affection on abandoned things originates basically from affection on things. Whether it is mine or other's, a thing used by someone for a long time embodies someone's life and that life's energy, I think. As he says that he discovers weariness of hard work and beauty of exhausted energy in a greasy car engine, the grease spot of that car is likely to seem like beautiful wrinkles of an old man to him. As a trace of time melts into the old man's wrinkles, a thing used by someone for long is with the time and energy spent together by the thing and its owner.
There are a number of artists in modern art who talk about abandoned things. Perhaps from the recent warm capitalism and sharing boom, abandoned things and projects for sharing and exchanging things are displayed in many forms of art. The sculptor Jonghee Lee, however, interprets abandoned things in a form of the most massive sculpture which looks like himself. In addition, he concentrates on the exhausted 'energy' of the abandoned things like a genuine sculptor. The energy lingering on abandoned things is fragmented, compressed in cement stone and then stuffed. The artist cannot bear to let the beauty of exhausted and rough energy disappear and he traps it in cement which seems to be the coldest to seek cathartic beauty.
The exhausted energy and stuffing that energy means life and death. Life and death has been materials with fatal attraction for a very long time. Stuffing energy reminds Damien Hirst's stuffed living things and its stopped energy recalls Zhang Huan's work which was to bring a train broken for an earthquake in Sichuan into the exhibition hall. Jonghee Lee, however, who chooses standard tactics as a sculptor, recreates that energy with rough beauty through stuffing it in cement and tree. On the stuffed beauty of energy, he adds his energy, in other words, physical labor and techniques of a skilled sculptor so he stops that beauty within the stone in a way of an orthodox sculptor.
 
 
 
 
2012, 이종희의 신()-미니멀리즘의 조각, / 조광제(철학가)

복잡다기하게 전개되는 현대미술의 지형 속에서 작가가 자신만의 특유한 작품 세계를 구축한다는 것은 대단히 힘들다. 자신의 작품 세계가 갖는 특유성이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그저 남다르다거나 기발하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남다를 뿐만 아니라, 우선 그 나름의 다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일종의 근본 형식을 구축해야 하고, 나아가 그 근본 형식이 적어도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나름의 보편적인 가치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면서 이번 전시를 통해 발표되는 작품들을 소재로 삼아 작가 이종희의 작품 세계를 간단하게나마 분석해 보고자 한다. 다만, 전시장 입구에 전시된 단두대를 장치한 콘크리트 배는 다른 작품들과 다소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말하자면 일정하게 사회정치적인 함의를 담은 내러티브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하고, 전시장 실내에 전시된 작품들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그의 작업의 기본 방식은 일정한 계획에 따라 거푸집을 만들고 그 속에 다량의 모르타르를 부어넣어 굳게 한 뒤 직육면체로 깔끔하게 잘라내는 것이다. 이 기본 작업만으로도 일정하게 예술사적인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기본 방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이번에 전시된 그의 작품에서 정작 중요한 작업 방식은 다량의 모르타르를 부어넣기 전에 거푸집 속에 주로 큰 나무뿌리나 줄기, 또는 도자기를 비롯한 일상용품들, 또는 장난감이나 팬시용품 등을 미리 집은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부어넣는다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양생해서 굳게 한 뒤 직육면체로 깔끔하게 잘라내기 때문에, 결국에는 미리 집어넣은 그것들이 모르타르와 단단하게 결합하여 한 몸을 이루고, 아울러 완전히 굳어진 콘크리트를 깔끔하게 직육면체로 잘라낼 때 함께 잘려짐으로써 그 내부의 단면들을 직육면체의 표면에서 속살을 드러내듯이 드러내게 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적당히 예상할 수는 있으나 결코 정확하게는 예상할 수 없는 우발적인 형상들이 육중한 직육면체 콘크리트 표면에 아로새겨진다.
이종희의 특유하기 이를 데 없는 이러한 작업 방식에서 우선 돋보이는 것은 다산성을 지닌 근본 형식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그 다산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에서 성립한다.
첫째, 거푸집을 크기와 형태에 있어서 어떻게 달리 하는가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작품의 기본 형태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둘째, 거푸집 속에 모르타르 대신에 어떤 새로운 재료들을 부어 넣는가에 따라(예컨대 인조 대리석의 원료를 부어넣을 수도 있고 석고의 원료를 부어넣을 수도 있고 이것들을 적당히 섞어 집어넣을 수도 있을 것이다) 작품의 기본 마티에르를 전혀 색다르게 가져갈 수 있다.
셋째, 거푸집 속에 어떤 내용물들을 어떤 것을 어떻게 배치해서 미리 집어넣는가에 따라 전혀 다른 형상들을 구현해 낼 수 있다.
넷째, 완전히 양생된 1차 결과물을 어떻게 잘라내는가에 따라(예컨대 두툼한 직육면체나 정육면체로, 납작한 판으로, 혹은 심지어 ‘H’를 비롯한 여러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태로 잘라낼 수도 있다) 여러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을 만들 수 있다.
다섯째, 결국에는 이 여러 특징들을 어떤 비율로 조합해서 작품을 만드는가에 따라 산출되는 최종적인 작품들은 다종다양할 수 있다. 이렇게 강력한 다산성을 띤 작업 방식을 활용한다고 다종다양하게 제작된 작품들 전체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근본 형식이 붕괴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강화된다. 말하자면, 다산성을 통해 오히려 이종희 나름의 작업 스타일의 특유성이 더욱 강화된다.
문제는 특유하기 이를 데 없는 그만의 작업 방식이 그저 기발하다는 데 그치지 않고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어느 정도의 예술적 가치를 갖는가 하는 것이다. 한창 발돋움하면서 과학기술의 발달과 연동해서 계속 새로운 형식의 작품들을 생산해 내고 있는 미디어 아트를 제외하고 보면, 더 이상 새로운 것을 안출해 낼 수 없다고 할 정도로 현대미술사는 온갖 종류의 실험들을 다 거쳤다고 할 수 있다. 그 와중에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나름의 독보적인 예술적 가치를 구현해 낸다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이종희의 이 작품 방식에 대해 대략 다음과 같이 분석해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다.
첫째, 미니멀리즘의 기본 전략들을 원용하고 있다. 미니멀리즘은 기본적으로 사물 자체를 있는 그대로 간략하게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그저 직육면체 나무토막 하나를 단일 작품으로 제시한 칼 안드레의 <헤름>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미니멀리즘은 아주 기본 단위’(UNIT)라 부를 수 있는 간명한 기본 형태를 발견하여 이를 적절하게 변형 배치하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삼는다. 댄 플래빈은 형광등을, 도널드 저드는 알루미늄 혹은 판자로 된 직육면체를, 칼 안드레는 나무토막을, 리처드 세라는 쇠판을 기본 단위로 삼아 변형 배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종희는 잘라낸 콘크리트를 기본 단위로 삼아 변형 배치한다. 그럼으로써 기존의 세계적인 미니멀리즘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사물 자체가 지닌 근원적인 위력을 드러내는 쪽으로 치닫는다. 미니멀리즘 작가들이 주로 산업적인 공산품을 기본 재료로 활용하는데, 이종희가 시멘트를 비롯한 공산품을 기본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굳이 비교하자면, 그가 활용하고 있는 콘크리트야말로 현대 자본주의 도시문명을 일으킨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서양의 전통적인 미니멀리즘에 비해 기본 재료의 선택에 있어서 더욱 포괄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전통적인 미니멀리즘에 혼종적인 요소를 가미하고 있다. 그것은 앞서 말한 거푸집에 미리 집어넣은 여러 요소들이다. 그런 까닭에 전통적인 미니멀리즘에서 볼 수 없는 여러 다양한 우발적인 문양들이 작품의 표면을 장식하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자연물(나무의 경우)이나 인공물(장난감이나 팬시용품 및 일반 공산품)을 절단함으로써 도구를 벗어난 사물 자체의 내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혼종성을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전혀 이질적인 시멘트와 나무의, 또는 시멘트와 장난감 자동차의, 또는 시멘트와 카메라 등의 결합에 의한 절편적인 통일성이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셋째, 굳이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특히 나무와 시멘트의 절편적인 결합에 의한 통일성의 구축에서 시멘트는 지평으로서 나무의 속살을 드러내어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고 그런 와중에 나무의 속살에서 드러나는 문양이 주된 모티브로 작동하는데, 여기에서 일종의 생태주의적인 경향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들을 전체적으로 보면, 이종희의 작품 세계는 기본적으로 미니멀리즘적인 사물의 기하학적 처리에 입각해 있으면서 그 이후 전개된 미술사적인 흐름,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적인 경향을 가미해 나름대로의 새로운 미니멀리즘을 구축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에 평자는 작가 이종희의 이번 전시회에 출품된 작품들을 일괄적으로 일컬어 ()-미니멀리즘이라 부르고자 한다.
이러한 이종희의 작업은 미니멀리즘이 한국에 도입되면서 이른바 한국적 미니멀리즘이라고 해서 회화를 중심으로 한 것과는 전혀 궤를 달리한다. 그동안 한국 미술에서 입체적 미니멀리즘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미미했고 힘을 발휘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이렇게 이종희의 작업을 통해 신-미니멀리즘적인 방식으로, 게다가 다산성이 탁월한 근본 형식의 개발을 통해 미니멀리즘적인 미술에서의 인간을 넘어선 사물 추구의 정신을 고취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미술사적인 맥락에서 이종희의 작품 세계가 그 특유성을 발휘하면서 성립한다고 해서 작품 그 자체로 예술적인 위력을 발휘하지 않는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비단 혼종적이어서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생경하게 다가오면서 크게 충격을 준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예술적 감수성을 충분히 자극한다.



2012, JongHee Lee's Neo-minimalism sculptures, write / Cho Kwang dje
 
In the field of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contemporary arts, it is very difficult for an artist to establish his or her own unique world of art. To make the unique world unusual, being different is not enough. It should not only be different, but it also should have a basic form that can be prolific, and furthermore, that form must include a universal value in terms of art history.
Bearing this in mind, I intend to take JongHee's sculptures that are displayed in the exhibition and briefly analyze his world of works. To do so, I am going to focus the works displayed inside but exclude the sculpture,Concrete Ship Equipped With Guillotine at the entrance of the exhibition hall because this has a rather different political implication.
His basic work method is to form a cast and pour lots of mortar into the cast. When the mortar is dried, it should be cleanly cut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This basic work itself could have an impact on art history, but this is not the whole story. For the work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is critical method is to put different things into a cast like roots, branches, everyday objects including ceramics, toys and fancy stuff before pouring mortar. When the mortar is dried, those things put before the mortar are hardened with the mortar to become a body. Then, it is cut in a rectangular shape and so accidental figures, whether they are expected or not, are formed in the heavy and rectangular concrete surface.
What is unique in his method is that he invented a fundamental frame of prolificacy. The prolificacy is possible based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how differently a cast is made in size and frame can produce any number of basic frames of different works.
Second, the matiere of works can be totally different depending on what materials instead of mortar are put into a cast.
Third, totally different figures can be created depending on what materials in which position are put into a cast.
Fourth, diverse forms of works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in what shape the first products are cut after curing. It can be cut in a thick rectangular or square shape, flat panel and diverse geometric figures including even H shape.
Fifth, eventually the final sculpture is very diverse depending on how these characteristics in what rate are combined. Using this prolific method doesn't mean to destroy a basic form that produces diverse works. Rather, the basic form is strengthened. In other words, the uniqueness of JongHee's work style is enriched through the prolificacy.
The point is here that his method is not just brilliant, but how much artistic value it has. We may say the contemporary art cannot create anything more because history tells it has undergone all kinds of experiments except media arts, which continue to create new forms of work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Under the situation, it is very hard to establish Lee's own unique artistic value in terms of art history. Keeping this in mind, special meaning can be given to Lee's work method as follows.
First, it adopts the basic strategy of minimalism. Basically, minimalism simply describes things as what they are. It is clearly shown in the work, Herm by Carl Andre who suggested a simple rectangular wood as a single work. Minimalism tries to find a basic form named unit and take a strategy of appropriately changing or positioning it. Dan Flavin, Donald Clarence Judd, Carl Andre, and Richard Serra use fluorescent, aluminum or wooden rectangular, wooden blocks and iron panels respectively as the unit and change or position them for creating sculptures. Likewise, JongHee Lee takes concrete which is cut as the unit and either change or position it. By doing so, he shows the basic power of objects just like world renowned minimalists. The fact that he uses industrial products including cement shows a common aspect of minimalist who use industrial products as the unit. For a basic material, if I may compare, his basic material of concrete embraces the unit of the western minimalism in that Lee's concrete is indeed a basis of beginning the urban civilization in the modern capitalism.
Secondly, his method has a factor of hybrid from the conventional minimalism. That is diverse objects put into a cast with mortar. That's why we can see diverse accidental patterns on the surface, which is not seen in the works of the traditional minimalism. On one hand, this shows the inner side of the objects put into a cast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a hybrid characteristic of post modernism. Sliced unity of two different materials like cement and wood or cement and toy cars, or cement and camera can show that very well.
Thirdly, if I may add one more, in building a unity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wood and cement, cement supports wood pattern, which is a major motif from which we can see his eco-friendly attitude.
In conclusion, Lee's world of works is basically based on minimalism but he has established his own neo-minimalism by adding the trend of post modernism to his art world. Therefore I would like to call all of his works as one neo-minimalism.
His minimalism is different from Korean minimalism focusing on painting as minimalism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his work of neo-minimalism, particularly by inventing a basic frame of prolificacy, his works has significance in that he encourages the spirit of pursuing objects beyond humans.
In terms of art history, the fact that his world of works is established with his unusual method doesn't mean his sculptures don't have any artistic power. They stimulate today's sense of arts enough not just because they have a factor of hybrid minimalism but because for their unfamiliarity they have a huge impact in the field of arts.
 
 
 
 
2009, 죽은 나무에게 바치는 레퀴엠, / 오상일(조각가, 미술학박사)

사라져가는 자연. 파괴되는 환경. 이는 세계 공통의 이슈가 되었다. 많은 작가들이 이러한 환경문제를 작업의 주제로 채택하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흔해져버린 주제설정 때문에 환경작업들이 때로 진부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이종희도 사라져가는 자연과 거기에서 비롯되는 아픔을 자신의 작품주제로 삼는다는 점에서 환경작가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의 작업은 정통적 조각어법으로, 대비contrast의 수사학을 구사하는 표현방식으로 인해 오히려 새롭다.
대개의 환경주의 작가들의 접근 방식은 아르테 포베라에서처럼 자연의 오브제를 그대로 가져다 쓰거나, 정크 아티스트처럼 폐품을 재활용한다든지, 또는 사이트-스페시픽에서와 같이 자연 속으로 직접 들어가서 현장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종희는 정공법을 택한다. 이종희의 작업은 모든 정통조각이 요구하는 것들; 무겁고 강건한 재료, 숙련된 기술, 고단한 육체노동을 부담한다. 그는 산이나 들판을 헤매며 쓰러진 나무를 찾아다닌다. 적당한 놈이 발견되면 그것을 작업실로 옮겨와서 시멘트로 떠내기 시작한다. 우선 시멘트 틀에서 원형이 되는 나무를 제거하여 외형(外型mould)을 만든다. 그다음 만들어진 오목형태의 외형을 다시 커다란 나무 거푸집 안에 집어넣고, 거푸집의 빈 공간을 모르타르로 가득 채운다. 며칠 후 모르타르가 굳으면 거푸집의 나무틀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면 거대하고 육중한 시멘트 궤짝 안에 나무 형상의 빈 공간이 드러누워 있는 셈이 된다. 여기에 소요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의 양이 전방부대의 벙커 몇 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이 된다. 여기까지의 작업과정을 보노라면 그 절차와 분위기가 마치 죽은 나무의 시체를 염습(殮襲)하고 입관(入棺)하는 것 같다. 이때 육중한 시멘트 덩어리는 영락없는 파라오의 석관이 된다. 이 영생불멸의 상징은 다시 석재공장으로 옮겨져 대형의 다이어몬드 원형 톱에 의해 규격화된 크기로 썰려나간다. 그러면 그곳 썰려나간 단면 안에 음각의 나무 형상이 기록되어 지금은 죽어 없어진 나무의 부재와 지나간 영화를 이야기한다.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의 토막들은 질서정연하게 배치되어 군대의 열병식(閱兵式)을 방불케 한다. 이때 그의 작업은 충실한 매스와 견고한 형태로 인해 고전적인 품위를 획득한다. 도열한 육면체의 시멘트 외형과 캐스팅에 쓰였던 실재의 잘생긴 나무가 함께 병치되면, 비극적 에토스는 더욱 증폭된다. 시멘트 외형의 네거티브 공간과 실제 나무의 포지티브 매스가 대비되어 나무의 실존을 생생하게 증거한다.
그가 나무를 화석으로 만드는 작업은 자연의 고고학이며, 죽은 나무에게 헌정하는 레퀴엠이다. 시멘트와 나무의 대비는 문명과 자연의 대비이며, 유클리트 기하학과 프랙탈 기하학의 대비이며, 모더니즘적 절도와 포스트모더니즘적 분방함의 대비이다. 모든 위대한 미술은 선대의 미술사를 요약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새로운 미술사가 출발한다. 이종희의 경우도 이와 같을 것이다. 그의 조각은 종래의 조각이 쌓아 온 정통적 어법들을 존중하면서도, 분명한 개념과 극적 서사를 가지고 이 시대의 이슈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2009, A requiem Dedicated to Dead Trees, Write/ Oh, Sang-Il (Sculpture, Doctor of Art)

Disappearing nature. Environments that are being destroyed. These became common issues of the world. Many artists adopt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ir themes of work. Therefore, now, works on environments are sometimes felt trite because of the set themes that have become common. Lee, Jong-Hee can be also classified into an environmental artist in that he takes disappearing nature and resultant pains as themes of his work. Nevertheless, his work are rather fresh because of his way of expression using the rhetoric of contrast, with the legitimate language of sculpture.
The approaches of most environmentalist artists are generally using objects of natures as they are as in the case of Arte Povera, recycling wastes as in the case of junk artists or going into nature firsthand to work on the site as in the case of Site Specific. However, Lee, Jong-Hee adopts frontal attacks. Lee, Jong-Hee's works involve things required by all legitimate sculptures: heavy and robust materials, proficient skills and hard physical labors. He wanders mountains or fields to find trees fell down. when he find appropriate ones, he brings them to his studio and begins to mold them in cement. First, he removes the trees as original forms from the cement mold to make an external form(mould). Then, the hollow external form made as such is put into a large wooden cast and the empty space in the cast is completely filled with mortar. When the mortar is hardened several days later, the wooden frame of cast is removed. This way, empty spaces in the shape of trees become to lie in a huge and heavy cement box. The amount of cement mortar used in this process is equal to the amount enough to make several bunkers in a forward unit. Seeing the working processes up to here is like seeing dressing corpses of dead trees and placing them in a coffin. Then, the heavy mass of cement becomes to look like a stone coffin of a Pharaoh. This symbol of eternal life and immortality is then moved to a stone factory and cut into standardized sized by a large round diamond saw. Than, the depressed tree shapes recorded in the cut sections tell the absence of the dead and disappeared trees and past glory. The blocks in the same size and shape are arranged in apple-pie order reminding of a formal military review. At this time, his work acquires classical dignity with the substantial mass and robust shape. When the hexahedral cement moulds and the good shaped trees used for the casting are placed together, the tragic ethos is amplified further. The negative spaces in the cement moulds and the positive masses of actual trees contrast with each other to vividly evidence the existence of the trees.
His works to make trees into fossils is archeology of nature and requiems dedicated to trees. The contrast between cement and trees is a contrast between civilization and nature, a contrast between Euclidean geometry and fractal geometry and a contrast between modernist moderation and post-modernist liberalism. All great arts summarize preceding history of art. Then new history of art begins from there. This must be case of Lee, Jong-Hee because his sculptures respect the legitimate language of sculpture accumulated by preceding sculpture while revealing issues of the contemporary times with clear concepts and dramatic narration.